본문 바로가기

지구이야기148

달의 뒷면은 왜 볼 수 없을까? 🌕 인간의 오랜 호기심, 달의 뒷면달은 인류가 가장 오래 바라본 천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오랜 시간 달을 바라보아도 항상 같은 모습만 보인다는 사실, 신기하지 않으신가요?우리가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 이유는 단순히 시야의 문제 때문이 아니라, 바로 '조석 고정(Tidal Locking)'이라는 천체 물리학적인 원리에 기반합니다.🌍 달의 한 면만 보이는 이유 – 조석 고정 현상‘조석 고정’은 달이 지구 주위를 돌면서 항상 같은 면만 지구를 향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과거에는 달도 지금보다 빠르게 자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구의 중력이 달의 자전에 영향을 미치면서, 달의 자전 속도는 점차 느려졌고, 수십억 년에 걸쳐 자전.. 2025. 4. 2.
우주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 이유는? 진공의 신비와 소리의 본질 우주 영화에서 우주선이 폭발하거나 레이저가 발사될 때 ‘펑’, ‘피융’ 하는 소리가 들리는 장면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우주는 그렇게 시끄럽지 않습니다. 오히려 완전한 침묵에 가까운데요. 영화적인 효과를 제외하면, 우주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공간’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번 글에서는 우주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 이유와 관련 과학 지식, 그리고 그 속에 숨은 신비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리란 무엇인가? – 매질이 필요한 에너지먼저 ‘소리’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소리는 진동을 통해 발생하며, 이 진동이 공기나 물, 금속처럼 **매질(介質)**을 통해 전달되면서 사람의 귀로 인식됩니다. 즉, 소리는 압력의 파동 형태로 전달되며, 반드시 전달될 수단인 매질이 필요합니다.예를 들어,.. 2025. 4. 1.
푸른 바다에서 빛나는 야광 플랑크톤, 왜 스스로 빛을 낼까? 한여름 밤, 고요한 해변을 거닐다 보면 파도가 밀려올 때마다 바닷물이 은은하게 푸른 빛을 발하는 신비로운 장면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마치 바다 위로 별빛이 흩날리는 듯한 이 장면의 주인공은 바로 ‘야광 플랑크톤’입니다. 눈에 잘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이 생물들이 어떻게, 왜 이런 아름다운 빛을 만들어내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야광 플랑크톤의 비밀스러운 세계와 그 빛의 이유, 그리고 우리가 직접 그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까지 모두 소개해보도록 할께요. 야광 플랑크톤이란?야광 플랑크톤은 ‘생물 발광(bioluminescence)’이라는 능력을 가진 미세한 해양 생물로, 바다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플랑크톤 중 일부가 이 빛을 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디노플라젤레이트(Dinofla.. 2025. 4. 1.
우주 탐사를 가로막는 ‘빛의 속도’의 한계, 극복 가능할까? 🌌 빛의 속도 한계: 우주 탐사의 걸림돌인가?우주는 인류의 오랜 호기심을 자극하는 궁극적인 미지의 세계입니다. 밤하늘을 바라보며 ‘저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는 우주를 자유롭게 탐험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자연이 설정해 놓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바로 빛의 속도라는 절대적인 경계입니다. 빛은 우주에서 정보와 에너지가 이동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수단이지만, 이 속도의 한계는 오히려 인류가 먼 우주로 나아가는 데 있어 커다란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빛의 속도는 과연 인류의 우주 진출을 가로막는 진정한 걸림돌일까요?  빛의 속도란 무엇인가? 빛의 속도는 진공 상태에서 초당 약 299,792,458미터, 즉.. 2025. 3. 31.